-
한국 주요 좌표계 EPSG코드 및 proj4 인자 정리GIS 일반 2011. 12. 21. 16:09
알림:
Proj6.0부터는 국토지리정보원이 고시한 Molodensky-Badekas 10계수 모델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Proj6.0을 좌표계 라이브러리로 사용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경우 아래 Bursa-Wolf 7계수 모델을 이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QGIS는 3.10.3부터) 자동으로 국토지리정보원의 고시값을 물고 들어와 타원체 변환을 수행해 줍니다.
QGIS 같은 경우 https://www.osgeo.kr/276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5월 14일
본 좌표계에 관한 정보들은 타원체 변환을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이 2002년 12월에 고시(제2002-433호)한 "국가좌표변환계수"의 Bursa-Wolf 모델용 7개의 변수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의 공식 좌표계변환 관련 고시는 2003년 12월에 고시(제2003-497호)한 "국가좌표변환계수 고시"입니다만, 이 고시에 나온 값들은 10개의 변수를 이용하는 Molodensky-Badekas모델을 위한 것으로 Proj4 라이브러리가 사용하는 Bursa-Wolf 모델에는 사용할 수 없어 Proj4를 사용한 많은 오픈소스 툴들에서는 부득이 2002년에 고시된 값을 기준으로 변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올바른 좌표계 변환을 위해 정확한 값을 제공해주신 국토지리정보원 측지과의 문지영님께 감사드립니다.
- 가이아쓰리디 장병진 -
[전지구 좌표계]
전세계를 한번에 나타내야 할 때 많이 쓰이는 좌표계들입니다.
*WGS84 경위도: GPS가 사용하는 좌표계
EPSG:4326, EPSG:4166 (Korean 1995)
+proj=longlat +ellps=WGS84 +datum=WGS84 +no_defs
*Bessel 1841 경위도: 한국과 일본에 잘 맞는 지역타원체를 사용한 좌표계
EPSG:4004, EPSG:4162 (Korean 1985)
+proj=longlat +ellps=bessel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GRS80 경위도: WGS84와 거의 유사
EPSG:4019, EPSG:4737 (Korean 2000)
+proj=longlat +ellps=GRS80 +no_defs
*Google Mercator: 구글지도/빙지도/야후지도/OSM 등 에서 사용중인 좌표계
EPSG:3857(공식), EPSG:900913(통칭)
+proj=merc +a=6378137 +b=6378137 +lat_ts=0.0 +lon_0=0.0 +x_0=0.0 +y_0=0 +k=1.0 +units=m +nadgrids=@null +no_defs
[UTM]
전세계를 6도 단위로 나누는 표준적인 TM으로 군사지도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UTM52N (WGS84): 경도 120~126도 사이에서 사용
EPSG:32652
+proj=utm +zone=52 +ellps=WGS84 +datum=WGS84 +units=m +no_defs
*UTM51N (WGS84): 경도 126~132도 사이에서 사용
EPSG:32651
+proj=utm +zone=51 +ellps=WGS84 +datum=WGS84 +units=m +no_defs
[보정안된 오래된 지리원 표준]
이 좌표계들은 EPSG에 등록되어 있지만, lon_0값의 문제로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오래된 지리원 표준]이 현업에서 실제 사용된 좌표계입니다.
*동부원점(Bessel): 강원도 등 동부지역EPSG:2096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중부원점(Bessel): 서울 등 중부지역
EPSG:2097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서부원점(Bessel): 서해5도 등 서부지역
EPSG:2098
+proj=tmerc +lat_0=38 +lon_0=125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오래된 지리원 표준]
2002년 이전에 지리원의 지형도와 KLIS 등 국가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던 좌표계입니다.
*보정된 서부원점(Bessel) - KLIS에서 서부지역에 사용중EPSG:5173
+proj=tmerc +lat_0=38 +lon_0=125.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보정된 중부원점(Bessel): KLIS에서 중부지역에 사용중
EPSG:5174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보정된 제주원점(Bessel): KLIS에서 제주지역에 사용중
EPSG:5175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5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보정된 동부원점(Bessel): KLIS에서 동부지역에 사용중
EPSG:5176
+proj=tmerc +lat_0=38 +lon_0=129.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보정된 동해(울릉)원점(Bessel): KLIS에서 울릉지역에 사용중
EPSG:5177
+proj=tmerc +lat_0=38 +lon_0=131.0028902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KATEC 계열]
한반도 전체를 하나의 좌표계로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하는 좌표계입니다.
*UTM-K (Bessel): 새주소지도에서 사용 중
EPSG:5178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UTM-K (GRS80): 네이버지도에서 사용중인 좌표계
EPSG:5179
+proj=tmerc +lat_0=38 +lon_0=127.5 +k=0.9996 +x_0=1000000 +y_0=20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 2014년 1월 21일 신상희 추가
*네비게이션용 KATEC 좌표계(KOTI-KATEC)
EPSG 없음. 비공식 좌표계임.
+proj=tmerc +lat_0=38 +lon_0=128 +k=0.9999 +x_0=400000 +y_0=6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타원체 바꾼 지리원 표준]
과거 지리원 좌표계에서 타원체와 lon_0 문제를 수정한 좌표계로 2000년대 초반에 잠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서부원점(GRS80)-falseY:50000EPSG:5180
+proj=tmerc +lat_0=38 +lon_0=125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중부원점(GRS80)-falseY:50000: 다음지도에서 사용중인 좌표계
EPSG:5181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제주원점(GRS80)-falseY:55000
EPSG:5182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55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동부원점(GRS80)-falseY:50000
EPSG:5183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동해(울릉)원점(GRS80)-falseY:50000
EPSG:5184
+proj=tmerc +lat_0=38 +lon_0=131 +k=1 +x_0=200000 +y_0=5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현재 국토지리정보원 표준]
2002년 이후에 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에서 사용중인 좌표계입니다.
*서부원점(GRS80)-falseY:60000
EPSG:5185
+proj=tmerc +lat_0=38 +lon_0=125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중부원점(GRS80)-falseY:60000
EPSG:5186
+proj=tmerc +lat_0=38 +lon_0=127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동부원점(GRS80)-falseY:60000
EPSG:5187
+proj=tmerc +lat_0=38 +lon_0=129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동해(울릉)원점(GRS80)-falseY:60000
EPSG:5188
+proj=tmerc +lat_0=38 +lon_0=131 +k=1 +x_0=200000 +y_0=600000 +ellps=GRS80 +units=m +no_defs
'GIS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주요 좌표계 EPSG코드 및 proj4 인자 정리 (9) 2011.12.21
EPSG:5178, EPSG:5179의 x_0, y_0 값이 잘못되어 수정하였습니다.
경위도 좌표계들에서 한국에서 정의한 Datum의 EPSG 코드를 추가하였습니다. 글로벌한 데이텀과 무엇이 차이가 있는지는 아직 모르겠네요.
특정 EPSG 코드값에 해당하는 PROJ4 형식의 좌표계 정보를 뽑아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 GDAL과 함께 배포되는 epsg_tr.py 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Bessel 타원체를 사용하는 좌표계가 정상적으로 현재 좌표계들로 변환될 수 있도록 +towgs84=-146.43,507.89,681.46 인자를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다음, 네이버, 구글 등 유명 지도에서 사용하는 좌표계를 명시하였습니다.
예. 좋은 정보에 감사 드립니다.
Bessel 타원체에서 WGS84 타원체로 변환을 위한 towgs84 인자의 값을 2006년에 고시된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 2006-608호]의 값으로 변경하였습니다.
EPSG:5177 에는 국토지리정보원의 해당 7변수가 해당이 안되나요? EPSG:5177에 대해서만 적용이 안되어 있네요?
Bessel에서 WGS84 혹은 GRS80 타원체로 변경하기 위한 towgs84 인자를
국토리지정보원에서 2002년 12월 고시되었던 Bursa-Wolf 모델용 변수에 근거해
다음과 같이 변경하였습니다.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